[하위디렉토리의 권한을 755로 변경]
find . -type d -exec chmod 755 {} \;  

[하위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의 권한을 644로 변경]
find . -type f -exec chmod 644 {} \;



옵션  d   디렉토리

      f   파일



■ 리눅스 시스템의 파일 및 디렉토리에 대한 권한/그룹 관리


(1) 권한에 대한 관리
: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permition을 관리한다.

 명령어
: chmod [권한값] [파일명]

 권한값에 대한 정의
: ls -al 명령을 통해 파일/디렉토리의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.


r : 읽기권한(4) , w : 쓰기권한(2), x : 실행권한(1)

- 10자리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4파트로 나누어 해석

- [디렉토리 1자리] [소유자권한 3자리] [그룹권한 3자리] [전체권한 3자리]

 - 권한값 읽기 : [ -rw-rw-r-- ] => 664로 읽을 수 있다. (r+w(6), r+w(6), r(4))

 파일 권한 변경하기
: chmod 명령을 이용해 파일의 권한을 변경



- chmod 755 test.c 명령실행
- test.c 라는 파일의 권한이 664 에서 755로 변경
- 소유자권한 : 읽기, 쓰기, 실행
- 그룹권한 : 읽기, 실행
- 전체권한 : 읽기, 실행

 디렉토리 권한 변경하기
: chmod 명령을 이용해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



- chmod 750 tes 명령실행
- test 라는 디렉토리의 권한이 775 에서 750로 변경
- 소유자권한 : 읽기, 쓰기, 실행
- 그룹권한 : 읽기, 실행
- 전체권한 : 없음

=> root 또는 동일그룹의 사용자를 제외하고는 디렉토리를 열 수 없다.
   




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RM - 파일 삭제  (0) 2016.03.04
파일 소유자/소유그룹 설정  (0) 2016.03.04
리눅스 페도라 23 Telnet 설치 및 설정법_초보용  (0) 2016.02.25
리눅스 명령어  (0) 2016.02.24
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

공지사항

카테고리

Information Security
====================..
보안
====================..
시스템 일반
프로그래밍
웹 해킹
데이터베이스
리눅스
강의 정리
자료실
====================..
자동차
====================..
보컬
====================..
BLOG main image
정보보호의 필요성~~ by VentoIin
Total :
Today : Yesterday :